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아파트 재산세 내는 방법[할인방법, 초간단 정리, 쉽게 알아보기, 계산법]

by 인베스팅하우스 2024. 8. 4.

아파트 재산세 내는 방법


이번 포스팅에서는 재산세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재산세란?

 

재산세란

 

재산세는 소유한 재산에 대해 정부나 지방 정부에 지불하는 세금입니다.

우리가 일상에서 내는 재산세는 부동산, 자동차, 보석, 예금과 같은 재산에 부과가 됩니다.

 

 


 

재산세 납부 기준일

 

 

재산세를 본인이 납부해야 하는지 말아야 하는지 모르시는 분들이 계실 수도 있습니다.

 

부동산을 기준으로 보유하셨을 때 6월 1일 자로 본인 명의의 부동산이 있다면 재산세 납부 대상자입니다.

 

 

 

 


 

재산세 납부일

 

납부 기준일이 6월 1일이면 재산세를 납부를 언제 해야 할까요?

 

우리나라는 7월에 재산세를 납부하는 달입니다. 실거주 중이시면 거주 중인 주택으로 고지서가 날아옵니다.

 

 

 

 


 

 

 

재산세 납부 방법(내는 방법)

 

 

 

사실 납부방법은 대부분이 아실 것으로 생각됩니다.

 

왜냐하면 재산세애 대해서 고지서가 일반적으로는 날아옵니다.

이런 경우에는 간단하게 고지서에 고지된 가상계좌에 납부하시거나 혹은 카드결제를 하시면 됩니다.

 

하지만 만약 전세나 월세를 주고 그러면 고지서가 제대로 날아오지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런 경우에는 본인이 확인해서 챙겨야 합니다.

 

 

 

 

 


 

 

재산세 할인 하는 방법(할인은 아니고 가벼운 팁입니다.)

 

 

일단 첫 번째 팁을 드리면 만약 현재 무주택이신 분들은 6월 1일 이후에 주택을 매매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왜냐하면 6월 1일에 본인 소유의 주택이 있다면 재산세(보유세)가 부과되기 때문입니다.

 

두 번째 팁은 카톡 고지서로 바꾸고 할인을 받도록 합시다.

종이 고지서에서 전자고지서로 바꾸면 800원까지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세 번째 팁은 카드 할부 챙기기입니다.

갑자기 7월이 되어 재산세를 내야 할 일이 생기면 예상치 못한 지출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해 대부분 카드사들은 6개월 무이자혜택을 제공합니다. 카드를 통한 무이자로 하셔도 아무런 문제없습니다.

 

 

 

근데 만약 6월 1일에 명의가 넘어가는 경우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이런 경우가 흔치는 않지만 생기는 경우가 있을 수도 있는데요. 

 

결론부터 말하면 취득자(양수인)가 납세의무가 있습니다. 그러니 날짜를 잘 체크하셔서 매매하셔야 합니다. 

 


 

 

 

 

주택 재산세(보유세) 계산법

 

재산세 기준

 

재산세 기준입니다.

 

일반적으로 주택에서 재산세를 많이들 내시니 예를 들어 공시지가 4억짜리 집을 구매했다고 생각하고 예시를 들어드리겠습니다.

 

실거래가랑 헷갈리시면 안 됩니다. 실거래가는 우리가 매매할 때 거래된 가격이고 공시지가를 모르시는 분들은 밑에 링크를 통해 확인하시면 됩니다.

 

 

공시지가 4억 기준으로 했을 때 재산세입니다.

일단 1세대 1 주택 공시가격(4억) 6억 이하라서 공정시장가액비율 44%를 적용합니다.

 

그러면 17600만 원입니다. 여기에 12만 원(기본) + 1억 5천 초과분의 0.2% 하면 17만 2천 원이 됩니다.

 

이에 20% 지방교육세가 붙어서 20만 6천400원이 됩니다.

 

 

혹시 공시지가가 뭔지 모르는 분들을 위해서 간단하게 설명드리겠습니다.

 

공시지가란 부동산 가격공시 법률에 따른 국토교통부장관이 조사해서 평가한 표준지의 단위면적 당 가격입니다.

 

즉, 건물이 없는 대지에 얼마만큼의 가치를 가지고 거래되는지 감정평가사가 평가한 가격입니다.

-> 이것을 통해서 세금을 매길 때 기준가격이 되는 것입니다.

 

 

재산세 종부세 차이?

 

혹시 헷갈리시는 분들이 계실지도 몰라 재산세, 종부세 간단하게 정리해 드립니다.

 

일단 둘 다 공통적인 것은 부동산을 가지고 있는 사람에게 내라는 세금입니다.

 

그럼 재산세와 종부세의 차이는 무엇인가? 바로 과세 대상의 차이가 있습니다.

 

 

종합부동산세의 1세대 1 주택 기준으로는 과세기준은 12억으로 보시면 됩니다.

 

 

 

13억을 기준으로 종부세 및 재산세를 계산한 계산 내역서입니다.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많은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TOP

Designed by 티스토리

/* 링크버튼레드 */ codecanyon /* 링크버튼레드 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