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입신고2

전세 계약 후 꼭 알아야 할 '확정일자'와 '전입신고'의 차이점 전세계약을 마치고 나면 확정일자와 전입신고라는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그럼 이 확정일자와 전입신고의 차이는 무엇일까요? 전세계약의 경우에는 전세금이 엄청난 금액이기 때문에 할 수 있는 안전장치를 모두 해야 하는데요. 오늘은 두 가지 차이점과 꼭 챙겨야 할 포인트를 알아보겠습니다.   확정일자란?확정일자란 계약을 체결한 날짜를 부여기관에서 확정일로 확인해 주는 것입니다. 보통 계약서(임대차계약서)의 여백에 도장을 찍어 법적으로 증명을 합니다. - 어디서 받을 수 있을까요?: 주민센터, 등기소, 정부 24로 온라인으로도 가능합니다. - 중요한 이유?만약의 경우 집이 경매에 넘어가거나 압류당할 경우, 확정일자를 기준으로 보증금을 우선 변제받을 수 있습니다. - 확정일자는 언제 해야 할까요?일반적으로 전입신고랑.. 2025. 3. 5.
전입신고의 모든것 A to Z(전입신고 하는법, 해야하는 이유) 매매나 전세, 월세를 통해 입주하시게 되면 전입신고를 해야 합니다. 그럼 전입신고를 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전입신고란? 전입신고란 하나의 세대에 속하는 자의 전원 또는 그 일부가 거주지를 이동한 때에는 신고의무자가 새로운 거주지에 전입한 날부터 14일 이내에 주소지변경 및 등록을 위한 전입사실을 새로운 거주지 관할기관(읍, 면, 동주민센터 등)에게 신고하는 민원사무입니다. 전입신고를 하지 않으면? 1. 과태료 부과 우선 첫 번째로는 전입신고를 하지 않으면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자세하게 말씀드리면 주민등록법 제16조 1항, 제11조 및 제12조에 의거해 신고의무자(보통 세대주 및 구성원)는 새로운 거주지로 이사한 날부터 14일 이내에 새로운 거주지의 읍사무소, 면사무소, 동 주민센터에 방문하거나 정.. 2023. 8. 14.
반응형

TOP

Designed by 티스토리

/* 링크버튼레드 */ codecanyon /* 링크버튼레드 끝 */